터치 기술은 우리 일상생활 속에 깊게 자리하고 있습니다. 지금 당장 손에 쥐고 있는 스마트폰만 봐도 알 수 있죠. 더 이상 ‘딸깍’ 거리는 스위치를 누를 필요가 없습니다. 그뿐만이 아니죠. 터치 기술은 화면을 상하좌우로 쉽게 이동할 수 있는 스와이프와 여러 동작을 한 번에 인식하는 ‘멀티 터치’도 지원합니다. 자동차도 예외는 아닙니다.
복잡하게 눈에 띄는 버튼들을 터치 패널로 대신합니다. 화면을 바꿔가며 수십 개의 버튼도 패널 하나면 충분하죠. 심플한 디자인과 고급스러운 분위기 두 마리 토끼를 한 번에 잡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자동차 속 터치 기술을 모두가 반기는 것은 아닙니다.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자동차 앞유리에 붙인 내비게이션을 쉽게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블랙박스’와 내비게이션은 차를 사면 가장 먼저 구입해야 할 필수 아이템이었죠. 대부분 오너들의 자동차 속 터치 기술 체감은 내비게이션에서부터 시작됐을 겁니다.
당시 내비게이션 터치는 지금처럼 살짝만 눌러도 반응하는 타입이 아닙니다. 화면 속 버튼을 힘을 주어 꾹꾹 눌러야만 했죠. 이유는 저항막에 압력이 감지돼야 작동하는 ‘감압식’이었기 때문입니다. 지금은 대부분, 우리 몸에 흐르는 전기를 감지하는 ‘정전식’ 터치 기술로 바뀌었습니다. 이후 정전식 터치 패널의 사용은 급속도로 늘어나게 됩니다. 실내에 광범위하게 활용한 레인지로버 벨라를 예로 들 수 있죠.
레인지로버의 최신 인테리어를 채택한 벨라의 모습입니다. 상·하로 분리된 스크린을 포함, 변속레버 우측에도 터치 패널을 활용했습니다. 상단 스크린은 인포테인먼트, 하단 스크린은 공조 제어를 담당합니다. 거의 모든 동작이 ‘트리’ 구조로 된 메뉴를 터치로 조작해야 합니다. 운전 중 시선을 빼앗길 수밖에 없죠. 다행히도 2개의 다이얼 레버로 온도와 볼륨 등은 조작할 수 있습니다. 최소한의 사용성을 확보한 타입입니다.
터치 스크린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대표적 예로는 테슬라 모델 S를 빼놓을 수 없습니다. 무려 17인치 크기의 화면을 센터페시아에 세로로 배치했죠. 태블릿 사이즈를 넘어 작은 모니터에 견줄만한 크기입니다. 인포테인먼트와 실내 컨디션 등 모든 제어는 화면 속에서 이뤄집니다. 스마트폰에 익숙한 사용자에 최적화되어있죠. 그러나 반대로 이야기하면 스마트폰이 익숙하지 못한 사용자들에게는 불편할 수 있습니다. 원하는 기능을 한 번에 찾기가 수월하지 않습니다.
터치 기술의 활용은 스크린에 국한되지 않습니다. 다른 곳에 위치한 버튼들에도 터치 동작을 채택하기 시작합니다.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 스티어링 휠의 버튼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사실, 이 터치 버튼을 소개하는 이유는 시승 당시 굉장한 불편함으로 기억됐기 때문입니다. 양 손 엄지 손가락으로 조작하는 이 위치에는 보통 버튼이나 토글 타입의 레버가 자리합니다. 이곳에 터치를 불러온 시도는 매우 획기적이었죠. 그러나 사용성은 이루 말할 수 없이 불편했습니다. 손가락이 정확한 위치에 있는지 자꾸만 확인해야 했습니다. 여기에 쓸어내리는 동작들도 익숙해지는 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렸습니다.
국내에서도 본격적으로 ‘오더’를 시작한 포르쉐 신형 911. 좀처럼 변화를 시도하지 않는 포르쉐에도 터치의 바람은 불어왔습니다. 변속 레어 아래 두 줄로 늘어선 각종 버튼은 원형 계기판과 함께 포르쉐를 대표하는 인테리어 요소입니다. 그러나 이제는 모두 터치식으로 바뀌었습니다. 그림처럼 차에 전원을 넣지 않으면 하이그로시 블랙 패널의 형태를 보입니다. 전원을 켜면 구역이 나뉜 패널에 글자와 모양들이 나타납니다. 덕(?)분에 많은 옵션을 넣지 않아도 예전처럼 한눈에 티가 나지는 않습니다.
현대차도 이달 초, 스티어링 휠의 버튼을 두 개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로 대체한 미래형 버추얼 콕핏을 공개했습니다. 양쪽 10개에 가까운 버튼들을 모두 없앤 모습입니다. 물론 아직 프로토타입의 형태지만 벌써부터 다양한 반응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사용성은 둘째치고 ‘포니2’의 운전대를 닮았다는 볼멘소리도 이어졌죠. 디자인은 어찌됐건 얼마만큼의 사용성이 확보됐는지가 의문입니다.
자동차에 확대되는 터치 기술은 거스를 수 없는 변화의 추세입니다. 기능은 많아지고 단순함을 요구하는 시대적 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기 때문이죠. 여기에 각종 커넥티드 기술과 원격 제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물리 버튼을 고집할 수도 없습니다. 그러나 자동차는 작동하지 않으면 다시 한 번 누르면 되는 냉장고, TV와는 다른 물건입니다. 운전자와 탑승자 안전이 최우선으로 고려돼야 하죠. 운전 이외에는 다른 곳에 신경을 적게 쓸수록 안전 운전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안전을 우려하는 터치 기술에 점점 해결 방안도 제시되고 있습니다. 그 진화의 초점은 기술과 운전자의 교감입니다. 터치 화면에 손가락을 가까이하면 버튼 화면이 확대되기도 합니다. 시선을 오래 뺏기지 않고도 조작할 수 있죠. 또한, 진동과 소리로 작동 여부를 전달하는 ‘햅틱’ 반응을 적극적으로 활용합니다. 동작 후 자동차의 상태 변화를 살피지 않아도 됩니다. 손끝에 전달되는 반응으로 직감할 수 있죠. 이처럼 자동차 실내를 뒤덮고 있는 터치 기술은 날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완전한 자율주행의 기술이 도로를 점령하기 전까지는 안전을 고려한 직관적인 기술들이 꾸준히 진화해야 할 것입니다.
고석연 기자
공감 콘텐츠를 지향하는 열혈 에디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