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화재
국내외 13건 추정
현대자동차의 전기차 ‘코나EV’가 연이은 화재로 논란에 휩싸이면서 전기차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현대차는 5일 소비자들에게 사과하고 이달 중 재발 방지 대책을 내놓겠다고 밝혔지만 정확한 화재 원인을 몰라 어떤 조치가 나올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코나EV 13건 화재 추정
원인은 오리무중
6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2018년 출시된 코나EV는 현재까지 국내 11건, 해외 2건 등 총 13건의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1회 충전으로 400km 이상을 달릴 수 있어 국내외에서 10만 대 이상이 판매된 현대차의 대표적인 전기차 모델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화재가 잇따르고 있는 것이다.
가장 최근인 4일 오전에는 대구 달성군의 한 아파트에서 충전을 끝낸 코나EV에서 불이 나 차량이 전소됐다. 2018년 5월 첫 화재 발생 이후 지난해 8월까지 6건의 화재가 잇따르자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9월 자동차안전연구원에 제작 결함 조사를 지시했지만 1년이 지난 지금도 별다른 결론을 내지 못한 채 조사가 진행 중이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 지난해 7, 8월 화재사고 차량을 감식해 배터리팩 어셈블리 내부의 전기적 요인에 의한 발화 가능성만을 제기한 수준이다.
“원인 모르니 더 불안”…
집단소송 움직임도
고전압의 배터리를 쓰는 전기차의 경우 해외 브랜드인 테슬라 등에서도 여러 차례 화재 사고가 났다. 하지만 문제는 국내 전기차 화재 사고가 유독 코나EV에서 집중되고 있다는 점이다. 코나EV의 배터리팩 제조에 여러 기업이 관련돼 있는 점도 화재 원인을 정확히 짚어내기 어려운 이유이기도 하다.
코나EV의 배터리 시스템은 LG화학이 배터리셀을 만들어 LG화학과 현대모비스의 합작사인 HL그린파워에 공급하면 여기서 배터리팩을 생산하고, 이후 현대모비스에서 이 배터리팩과 배터리관리시스템(BMS)으로 배터리시스템어셈블리(BSA)를 만드는 방식으로 제조된다. 또 화재가 발생하면 차량이 전소되는 경우가 많아 전기적·화학적 문제를 정확히 규명하기 어렵다는 점도 요인이다.
사고 원인을 정확히 알 수 없다 보니 소비자들의 불안은 커질 수밖에 없다. 2018년에 코나EV를 구매한 직장인 A 씨(38)는 “충전이 끝나면 가급적 빨리 충전기를 빼려고 하는데 원인을 모른다고 하니 답답할 따름”이라고 말했다. 원인 규명 전에는 자차 보험으로 우선 보상받아야 하는 가운데 최근 코나EV 구매 고객들 사이에서는 리콜을 위한 집단소송 움직임도 일고 있다.
배터리 업계도 술렁…
이달 현대차 해법에 관심
국내 배터리 업계도 술렁이고 있다. 2016년 삼성전자의 ‘갤럭시 노트7’ 발화 사건,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33건 발생한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에 이은 전기차 화재로 2차전지의 안전성에 근본적 의문이 제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코나EV에 탑재된 배터리에는 LG화학의 배터리셀 ‘NCM622’ 리튬이온폴리머가 파우치 형태로 들어간다. NCM622는 10만 대가량 판매된 르노 전기차 조에와 GM의 볼트EV에도 들어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과거 갤럭시 노트7의 경우에는 배터리셀 분리막 결함이 원인으로 밝혀졌다. 또 ESS 화재는 근본 원인을 밝히지 못하고 배터리 에너지 밀도를 낮추는 방식으로 해결책을 찾은 바 있다. LG화학 측은 “조사에 적극 협조하고 있지만 현재로선 결과가 나올 때까지 지켜볼 수밖에 없다”는 신중한 입장이다.
이런 가운데 현대차가 5일 이달 중에 화재를 막는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히면서 이번 조치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에도 관심이 쏠린다. 현대차는 5일 일부 코나EV 고객들에게 사과와 함께 “10월 중 고객 안내문을 통해 자세한 조치 내용을 알려드리겠다”는 문자메시지를 발송했다. 자동차 업계에서는 화재를 막는 배터리관리시스템 업그레이드 등이 이뤄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김도형 dodo@donga.com·서형석·곽도영 기자